크리에이트브 M85D 개조기
M85-D에 사용한 부품들은 자작생활 20여년동안 모아온 부품들로 작업해서 비용은 안 들었지만 만약 이런 작업을 하려면 앰프 가격만큼의 비용이 들것으로 생각됩니다.
만약 앰프 diy나 자작 생활을 한다면 집에 있는 부품들로 한번쯤 해 보면 좋을꺼 같습니다.
콘덴서 경우 사이즈가 증가한것들도 있고, 추가한 것들도 있어서 뒷면에도 많이 붙였습니다...
콘덴서는 비싸고 특성이 좋은 녀석일수록 사이즈가 커집니다.
M85-D의 만듬새는 부품들은 좋은게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설계 자체는 아주 잘 되어진거 같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일단 볼륨을 최대로 높여도 험이나 화이트노이즈가 거의 발생되지 않았고, 이 가격에 디지털 입력이 있다는 자체도 놀랍습니다...
그리고, 컨트롤부와 앰프부를 별로로 만들어서 서로간의 간섭이 최소한으로 제작되어졌습니다.
하지만 기판이 에폭시 계열이 아니라 페놀 계열로 싸구려라 아쉽고 전원 디커플링 콘덴서를 많이 사용하기는 했지만 세라믹으로 되어진점.
볼륨 버그로 인하여 저음량시 좌우 밸런스가 안맞고 음이 갑자기 커지는점
개조방향...마음에 안드는 부품 전체 교체후 전원부 보강.
1차 개조.
볼륨 버그 픽스.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dm_audio_qna&page=1&sn1=&divpage=2&sn=off&ss=on&sc=off&keyword=M85-D&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6866
에 자세한 내용이 나와 있습니다.
내부에 흡음재 처리,4개의 IC 소켓처리하여 OPAMP 교체...
메인 IC 버퍼단 AD827, 톤 콘트롤부 OPA2134, 헤드폰 앰프부 OPA2604
소리성향.
처음 켰을때 저음부가 부은거 같은 소리와 고음부 탁한 소리가 개선.
악기 파트간 세퍼레이션이 좋아짐.
해상력 증가.
단점.
부기가 빠지니 저음이 약간 모자른듯한 느낌. 댐핑감 저하. 고음역대로 치우침.
2차 개조.(콘덴서 교체)
전원부 콘덴서 강화 - 4700uF -> 3300uF(삼화 오디오그레이드)2개
디커플링콘센서 - 0.1uF 세라믹 -> 0.1uF WIMA
네트웍 콘덴서 - 470uF -> 470uF, 220uF -> 100uF *2 (실믹)
입력 콘덴서 - 10uF 전해 -> 6.8uF * 2 산요 오스콘
소리 밸런스가 1차 개조후 고음역이 쏘는 경향이 있었는데 해결되었으며, 저음역대 댐핑이 좋아지고,음의 입체감이 좀더 살아남.
보컬이 앞으로 좀더 나오는 경향이 있음.
3차 개조. 신호라인 전해 콘덴서에 0.1uF ERO 필름 병렬 연결나머지 저용량 콘덴서를 마일러에서 필름으로 교체 저음을 최대로 올렸을때 붕붕거림 해결
음이 좀더 단단하게 나옴.
음악 감상 도중 일정 시간이 흐른뒤 몇초간격으로 잡음이 들어가는거 같아 확인결과 전원 IC인 7805에서 열이 좀 발생해서 방열판 부착 증상 해결.
개조를 끝마치면서.....
전원부 디커플링 콘덴서를 세라믹 0.1uF로 추가 해서 전원부쪽이 대체로 성실
개조 중간 콘덴서 극성을 잘못 연결하거나 납땜 미스로 소리가 이상하게 나기도 했으나 바로 수정
댓글 없음:
댓글 쓰기